ISA 만기 혜택, 반복해서 받을 수 있을까?
ISA 비과세 혜택은 어떻게 작동하는지, 만기를 짧게 잡으면 절세에 도움이 되는지 명확하게 알려드립니다.
ISA 만기, 짧게 잡으면 더 이득일까?
ISA 계좌의 가장 큰 장점은 ‘비과세 혜택’입니다.
만기 시점에 누적 수익 중 최대 200만 원까지 비과세. 초과분도 분리과세(9.9%)로 절세 효과가 큽니다.
그래서 이런 궁금증이 생깁니다.
“ISA 만기를 3년 단위로 짧게 가져가고, 계속 새로 개설하면 매번 비과세를 받을 수 있지 않을까?”
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게는 안 됩니다.
ISA 비과세 혜택, 어떻게 적용될까?
ISA 비과세는 단 한 번.
‘처음 개설한 날부터 3년 이상 유지’ 후 만기 시점에 한 번만 적용됩니다.
즉, 새로 ISA 계좌를 만들면 다시 3년을 채워야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한 번 비과세를 받고 계좌를 해지했다면, 반복해서 혜택을 받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.
ISA의 구조 자체가 ‘장기 투자’를 유도하도록 설계됐기 때문입니다.
만기 전략, 어떻게 가져가는 게 유리할까?
ISA는 짧게 돌리는 게 아니라
‘한 번 개설하고 오래 유지하는 것’이 절세에 훨씬 유리합니다.
ISA 만기를 설계할 때 고려할 것들:
- 최소 운영 기간 3년은 필수.
이 기간을 채워야 비과세 조건이 성립됩니다. - 5년 만기로 설정해도 중도 인출은 가능.
필요 시 일부 출금도 가능하니 너무 부담 갖지 않아도 됩니다. - 장기일수록 절세 혜택이 커집니다.
수익이 쌓일수록 비과세 범위도 의미 있어지기 때문입니다.
ISA 만기 혜택과 세액공제도 함께 챙기려면?
ISA 계좌는 단순히 비과세 혜택 외에도
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전환 옵션이 있습니다.
- 만기 시 **연금계좌(IRP, 연금저축)**로 전환하면
전환 금액의 10%, 최대 3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.
이건 오직 ‘만기 시점’에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만기를 너무 짧게 잡거나 중도 해지하면 놓치는 혜택입니다.
ISA 만기 혜택 관련 자주 묻는 질문들
ISA 비과세 혜택은 몇 번까지 받을 수 있나요?
→ 계좌당 1회, 만기 시점에만 받을 수 있습니다.
ISA를 해지하고 다시 만들면 혜택을 또 받을 수 있나요?
→ 다시 3년을 채워야 가능하며, 반복은 사실상 비효율적입니다.
만기 전 중도 인출해도 혜택은 유지되나요?
→ 일부 조건을 만족하면 가능하지만, 비과세 적용에 제한이 생길 수 있습니다.
세액공제 받으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요?
→ 만기 후 연금계좌로 전환할 경우에만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3년 만기와 5년 만기 중 무엇이 더 유리한가요?
→ 보통 5년 만기로 설정해 수익을 더 많이 쌓는 쪽이 절세에 유리합니다.
핵심만 정리하면 이렇습니다
ISA는 반복해서 비과세 혜택을 받는 구조가 아닙니다.
한 번 만들고 오래 유지하는 것이 절세 전략의 핵심입니다.
만기는 최대한 길게 잡는 것이 유리합니다.
'*지식왕 경제*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고차보험승계 타이밍 놓치면 생기는일 (0) | 2025.04.16 |
---|---|
신한은행 기한이익 상실예정 통보 받았을 때 조치법 (0) | 2025.04.16 |
신생아 특례대출, 입주권 있으면 무주택 아닐까? (0) | 2025.04.12 |
일본 금리 발표일, 2025년 전망이 심상치 않다 (1) | 2025.04.11 |
기납부세액이란? 홈택스에서 0원·마이너스 확인하는 법 (0) | 2025.04.10 |